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자바
- 오버라이딩
- for문
- 참조타입
- 조건문
- 메소드
- jsp구동원리
- Bootstrap
- display:flex
- 시맨틱태그
- 추상클래스
- Instance
- Java
- jsp
- align
- CSS
- Grid
- css grid
- Static
- 기본타입
- 데이터타입
- flex
- 반복문
- UTF-8
- 생성자
- html구조
- 부트스트랩
- html
- 접근제한자
- java sever page
- Today
- Total
목록Java (5)
개발자를 꿈꾸는 여정

1.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램 : 부품 객체를 먼저 만들고 이것들을 하나씩 조립해 완성된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법 객체(Object)란? -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 (자동차, 책, 사람) - 추상적인 것(회사, 날짜) 중에서 자신의 속성과 동작을 가지는 모든 것 - 객체는 필드(속성) 과 메소드(동작)로 구성된 자바 객체로 모델링 가능 객체의 상호작용 : 객체들은 서로 간에 기능(동작)을 이용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음 객체 간의 관계 - 객체는 다른 객체와 관계를 맺음 1) 집합 관계: 완성품과 부품의 관계 2) 사용 관계: 객체가 다른 객체를 사용하는 관계 3) 상속 관계: 종류 객체와 구체적인 사물 객체 관계 객체의 캡슐화 : 자바 언어는 캡슐화된 멤버를 노출시킬 것인지 숨길 것인지 결정..

1. 데이터 타입 분류 1) 기본타입 2. 참조타입이 있음. - 기본 타입 변수 – 실제 값을 변수 안에 저장 - 참조 타입 변수– 주소를 통해 객체 참조 2. String 타입 - 문자열 클래스 : 문자열을 저장하는 클래스 타입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String : 문자열 클래스 1. new String(바이트열) : 바이트열을 문자열로 변환 2. charAt(인덱스) : 문자 추출 3. equals(비교대상문자열) : 문자열 비교 4. getBytes() : 문자열을 바이트열로 변환 5. indexOf(검색문자열) : 문자열 찾기 [ 인수 : 찾을문자열 반환: 찾은 인덱스위치 ] 6. contains(검색문자열) : 문자열 포함여부 [ 인수: 찾을문자열 반환 : ..
1. 조건문( 제어문) 1) if문 if (조건식) { } : 조건식이 TRUE 이면 실행 if (조건식) { } else { } : 조건식이 TRUE이면 실행 / FALSE이면 else 실행 if (조건식) { } : 조건식이 TRUE이면 실행 else if { } : FALSE이면 else if 실행 => 다중 가능하다. else if { } // 반복 else if { } // 반복 else { } : FALSE이면 else 실행 => 마지막은 else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// if : true , false 만 제어 가능 //형태1 : if( 논리 ) true실행문 //형태2 : if( 논리 ) true실행문 // else false실행문 //형태3 : i..
1. 연산자 -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것. 2. 연산자의 종류 종류 연산자 피연산자 수 기능 산술 +, -, *, % 이항 사칙연산 및 나머지 계산 부호 +, - 단항 양수 및 음수 부호 문자열 + 이항 두문자 연결 대입 =, +=, -=, /= , %= &=, ^=, |=, ==, >>>== 이항 우편의 값을 좌변에 변수에 대입 증감 ++ , -- 단항 1씩 증가/ 감소 비교 ==, !=, >, =, A:B 삼항 조건식 A / B 중 선택 비트 ~, &, |, ^ 단항/ 이항 비트 AND, OR, XOR, NOT 연산 쉬프트 >>, > 이항 비트를 좌측/우측 밀어서 이동

1. 변수 - 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변수란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- 변수의 저장된 데이터는 언제든지 변경이 가능하다. 2. 데이터 타입 종류 타입 메모리크기 정수 byte 1 byte char 2 byte short 2 byte int 4 byte long 64 byte 실수 float 4byte double 8byte 논리 boolean 1byte 3. 타입 변환 - 작은크기 타입 -> 큰 크기 타입 : o (가능) - 큰 크기 타입 -> 작은크기 타입 : x (불가능)